|  | 
| ▲ 2025 광주광역시 무형유산 기·예능보유자 발표회-테이프 커팅식 | 
[메이저뉴스] 광주광역시와 광주문화재단은 지난 10월 31일 오후 2시 30분, 전통문화관 무형유산 전수관에서 열린'2025 광주광역시 무형유산 기·예능보유자 발표회'개막행사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행사는 광주 무형유산 기능 및 예능 보유자들이 그간의 전승 성과를 시민들에게 선보이는 자리로,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 의지를 다지는 뜻깊은 무대가 됐다.
개막식에는 전순희 광주광역시청 문화유산자원과장, 배동환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을 비롯해 무형유산 보유자, 관계자, 시민 등 다수가 참석하여 전통문화의 가치를 함께 공유했다.
전순희 과장은 “무형유산은 우리 삶의 뿌리이자 미래를 잇는 문화의 힘”이라며 “이번 발표회를 통해 시민들이 광주의 전통예술을 보다 가까이 느끼길 바란다”고 전했다.
광주 전통문화관 1층 무형유산 작품전시실에서는 악기장·대목장·탱화장·남도의례음식장 등 11명의 기능보유자(필장 안명환, 문상호, 악기장 이춘봉, 이준수, 화류소목장 조기종, 소목장(창호) 임종철, 남도의례 음식장 최영자, 이애섭, 민경숙, 대목장 박영곤, 탱화장 송광무) 작품이 전시되어, 아쟁, 가야금, 창호, 탱화, 음식 등 전통 장인의 정성과 기술이 깃든 작품들이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전시는 11월 6일까지 무형유산 작품 전시실에서 이어진다.
또한,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오는 12월 7일 오후 3시 전통문화관 서석당에서 무형유산 예능보유자 및 이·전수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예능보유자 합동공연’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판소리, 가야금병창, 시조창 등 전통예능의 진수를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무대로,'춘향가'·'심청가'·'흥보가'·'남도민요' 등 다채로운 공연이 시민들을 기다리고 있다.
공연 진행은 김혜정 교수(문화재청 무형유산 전문위원, 경기교육대학교)가 맡으며, 광주를 대표하는 명인(남도판소리 보유자 이순자, 김선이, 최연자, 판소리 강산제 보유자 이임례, 판소리 춘향가(동초제)보유자 방성춘, 가야금병창 보유자 문명자, 이영애, 황승옥)이 출연해 깊이 있는 무대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광주문화재단 배동환 사무처장은 “이번 예능보유자 발표회가 전통문화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이 되어 광주의 무형유산이 지닌 예술성과 가치가 더욱 널리 알려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