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무형유산의 계승․발전을 위한 '2025 수영전통민속예술제' 공개행사 개최

메이저뉴스 / 기사승인 : 2025-09-05 08:05:11
  • -
  • +
  • 인쇄
다양한 무형유산 공연행사로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유산 공유의 장 마련
▲ 「2025 수영전통민속예술제」 공개행사

[메이저뉴스] 부산시는 내일(6일) 정오에 시 무형유산 전수교육관인 '수영민속예술관 놀이마당'에서 무형유산의 보존과 원형 전승을 위해 '2025 제51회 수영전통민속예술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은 ▲시 지정 무형유산인 ‘수영농청놀이’와 ‘수영지신밟기’ ▲국가 지정 무형유산인 ‘수영야류’와 ‘좌수영어방놀이’가 공개행사로 진행된다.

또한, 구례잔수농악, 광주칠석고싸움놀이, 동래학춤, 한마당 놀이 등 흥겨운 공연과 함께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무대도 마련한다.

이번 축제를 주관하는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이사장 김성율)는 수영민속예술관에 있으며, 이날 공연하는 4개 무형유산의 원형을 전승하고 있다.

원형 전승 공개행사의 첫 번째 순서인 ‘수영지신밟기’는 2014년 시 무형유산으로 지정됐다.

농사와 어업의 풍요에 대한 옛 수영지역 사람들의 염원이 담긴 이 전통 행사는 오랫동안 수영지역에서 세시풍속으로 전래됐다.

두 번째 공연인 ‘수영야류’는 1971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됐는데, 수영지역에서 정월 대보름 저녁에 마을 사람들이 함께 모여 즐기던 마을 축제의 한 형태로서의 지역적 특성과 세시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탈놀이이다.

이어서 펼쳐지는 공연인 ‘수영농청놀이’는 1972년 시 무형유산으로 지정됐으며, 논농사 작업의 농요가 중심이 되고 보리타작과 소싸움을 곁들여 흥을 돋우는 농민의 순박한 생활을 표현한 향토 예능이다.

마지막 순서인 ‘좌수영어방놀이’는 1978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됐으며, 오늘날의 어업협동기구격인 어방의 어로작업 중 수영만 해안에서 행하던 멸치잡이 후리질 어로에서 유래된 것으로, 어부들이 그물을 끌어올리고 물고기를 퍼담는 등 실감나는 몸짓과 함께 어로요를 부르는 놀이이다.

공연은 시민 누구나 무료로 참관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시는 무형유산의 계승․발전을 위해 매년 시 지정 무형유산 전 종목에 대해 공개행사를 지원하고 있다.

조유장 시 문화국장은 “이번 공개행사는 수영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무형유산의 원형을 시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제공하는 뜻깊은 행사”라며, “시민들에게 전통 민속예술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문화경험을 선사하고,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