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성인지 통계 리플렛 | 
[메이저뉴스]청주시는 시민 삶의 전 영역에서 성별 격차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로 삼기 위해 ‘2025년 청주시 성인지 통계’를 구축하고 발간했다고 31일 밝혔다.
성인지 통계는 양성평등기본법(제17조)에 따라 여성과 남성의 조건과 사회공헌, 성별에 따른 필요와 특수한 문제를 반영하고자 생산·제시된 통계자료를 말한다.
이번 자료는 2021년에 이어 두 번째로 발간된 것으로, 시는 성평등 정책 추진의 기반을 강화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성인지 통계 연구보고서 외에도 ‘한눈에 보는 2025년 청주시 성인지 통계’ 리플릿을 함께 제작해 시민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였다.
이번 통계는 △인구 △가구 및 가족 △보육 및 돌봄 △교육 △경제활동 △건강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여가 △안전 및 환경 등 총 10개 분야의 292개 지표로 구성돼, 여성친화도시 조성과 시민 삶 전반의 성별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주목할 통계로는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는 청주시 총인구의 성별 비율이 2024년 말 기준 여성 49.9%, 남성 50.1%로 성별 균형이 안정적인 도시 구조를 보이는 반면, 여성 1인 가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성별 경제활동 인구는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6.0%로 남성(75.2%) 대비 19.2%p 낮았고, 임금 수준도 남성 평균 289만원, 여성 평균 187만원으로 성별 임금격차가 여전히 드러났다.
가족 내 중요한 의사결정은 ‘부부가 함께 결정한다’는 응답이 76.9%로 가정 내 성평등이 점차 일상적 가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청주시의 성평등 정책 추진 노력이 실제 인식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반면, 안전 분야에서는 ‘밤길에서 두려움을 느낀다’는 여성 응답률이 남성의 1.5배 이상으로 나타나 여전히 생활 안전 및 범죄 예방에 대한 성인지 정책 추진의 필요성이 확인됐다.
시 관계자는 “성인지 통계는 지역 실정에 맞는 성평등 정책을 수립하는 데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며 “함께 일하고 돌보는 환경 조성, 안전과 건강권 증진, 성평등 기반 강화를 통해 시민 모두가 동등하게 누릴 수 있는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