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구시교육청 |
[메이저뉴스]대구시교육청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구시험지구 응시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지원자는 25,494명으로 전년 대비 1,148명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2023학년도 801명 감소, 2024학년도 15명 감소, 2025학년도 1명 감소 등 감소 추세가 지속됐으나, 올해는 재학생 지원자의 증가로 전년도보다 지원자수가 크게 증가했다.
재학생은 17,233명 지원하여 지난해보다 1,636명 증가했고, 검정고시 출신은 1,124명으로 지난해보다 8명 증가했다. 반면 졸업생은 7,137명 지원하여 지난해보다 496명이 감소했다.
지원자 중 재학생 비율은 67.60%, 졸업생은 27.99%, 검정고시출신은 4.41%를 차지해 지난해보다 재학생 지원자의 비율이 3.53%p 증가했으며, 성별 분포는 남자 12,996명(50.98%), 여자 12,498명(49.02%)으로 남자가 498명 많다.
국어, 수학 영역 선택과목 분포는 ▲국어 영역의 경우 전체 지원자 중 25,363명(99.48%)가 선택했으며, 화법과 작문 17,067명(66.95%), 언어와 매체 8,296명(32.54%)으로 화법과 작문 과목이 약 2배 많은 수준으로 지난해와 같이 화법과 작문이 4.85%p 증가하고 언어와 매체는 감소했다. 국어영역 미선택자는 131명(0.51%)이다.
▲수학 영역의 경우 전체 지원자 중 24,723명(96.97%)가 선택했으며, 확률과 통계 13,137명(51.53%), 미적분 10,652명(41.78%), 기하 934명(3.66%)으로 확률과통계 선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보다 미적분이 13.65%p, 기하가 0.16%p 각각 감소한데 비해, 확률과통계는 10.78%p 증가한 결과이다. 수학 영역 미선택자는 771명(3.11%)이다.
▲영어 영역은 전체 지원자 중 25,250명(99.04%)이 선택했으며, 미선택자는 244명(0.96%)이다.
▲한국사영역은 필수로 지정되어 전체 지원자 25,494명이 모두 선택했다.
▲탐구영역은 전체 지원자 중 25,088명(98.40%)이 선택했으며, 미선택자는 406명(1.62%)이다. 탐구영역의 선택 분포는 사회탐구영역 14,259명(55.93%), 과학탐구영역 6,418명(25.17%), 사회‧과학탐구 영역 4,294명(16.84%), 직업탐구 영역 117명(0.46%)으로 나타났다.
▲사회탐구영역에서는 사회․문화(12,903명), 생활과윤리(10,324명), 세계지리(2,142명) 과목 순으로 선택 인원이 많았다. ▲과학탐구영역에서는 지구과학Ⅰ(6,613명), 생명과학Ⅰ(6,197명), 물리Ⅰ(2,117명) 과목 순으로 선택 인원이 많았고, 과학탐구Ⅱ 과목 선택자는 작년보다 205명 감소한 1,003명이었다.
전년에 비해 사회탐구영역과 사회·과학탐구영역은 각각 10.78%p, 10.03%p으로 큰폭 증가한데 비해, 과학탐구영역이 22.48%p으로 큰폭 감소한 것이 특징적이다.
▲직업탐구영역에서는 인간발달(66명), 공업일반(36명) 순으로 선택 인원이 많았고 2과목 선택 시 필수로 선택하는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76명 선택하여 지난해보다 9명 증가했다.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전체 지원자 중 3,901명(15.30%)이 선택하여 지난해보다 179명(0.02%p) 증가였으며, 미선택자는 21,593명(84.69%)이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일본어Ⅰ(1,341명), 한문Ⅰ(1,015명), 중국어Ⅰ(469명) 과목 순으로 선택 인원이 많았다.
▲전체 지원자 중 20,436명(80.16%)이 5개 영역을 선택했고, 제2외국어·한문영역까지 6개 영역을 모두 선택한 지원자는 3,866명(15.16%)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1,192명(4.67%)이 4개 영역 이하를 선택했다.
▲시험편의 제공 대상자는 28명으로 지난해보다 5명 증가했다.
또한 금년부터 처음 도입된 수능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입력 시스템을 이용한 지원자는 22,149명(86.87%)이다. 재학생은 17,133명(77.36%), 졸업생 등은 5,016명(22.64%)이 이용했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지원자 수는 재학생 지원자의 증가로 지난해보다 증가했고, 국어 및 수학 영역의 선택과목별 지원율 변화 및 과학탐구영역 지원율이 감소하고 사회탐구영역과 사회·과학탐구영역 지원율이 대폭 증가한 점이 특히 주목된다.”고 하면서 “한국사 영역은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응시해야 하며, 미응시할 경우 수능 전체가 무효 처리되고 성적 전체가 제공되지 않음을 수능 당일까지 꼭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모든 수험생이 안심하고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수능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