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환황해경제권의 중심 ‘충남 금강권’, 대한민국 기후테크 허브로 뜬다

메이저뉴스 / 기사승인 : 2025-09-25 14:10:16
  • -
  • +
  • 인쇄
‘금강기후테크밸리’ 조성!, ‘충남성장펀드’ 10조 원 만든다!
▲ 국민성장펀드 지방발전전략 토론회

[메이저뉴스]충남 부여군 박정현 군수는 지난 9월 23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이병진, 장종태 국회의원실이 주최하고 한국공공정책평가협회와 열린정책뉴스가 주관하여 열린 ‘국민성장펀드 지방발전전략 토론회’에 참석해 “금강권을 대한민국의 기후테크 산업 국제 허브로 키우겠다.”라는 야심 찬 비전을 제시했다.

이 비전의 핵심은 정부의 ‘국민성장펀드’ 150조 원 중 지역 프로젝트에 할당된 60조 원 규모의 자금 유치로, 그중 10조 원 규모의 ‘충남성장펀드’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 펀드는 정부, 지자체, 금융기관, 연기금 및 국제적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형 모델로, AI, 바이오, 기후테크(ABC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충남 경제의 신성장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박정현 군수는 ‘금강기후테크밸리’ 조성을 중심으로 5대 핵심 앵커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해상풍력 및 그린수소 밸류체인 구축’으로 탄소 중립 핵심 에너지인 해상풍력과 그린수소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 경제 클러스터 구축’으로 재활용 배터리를 통한 자원순환 및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탄소 포집 및 저장(CCUS) 인프라 구축’으로 산업계 온실가스 감축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저탄소 물류·상용차 전환 허브 조성’으로 친환경 물류·상용차 전환을 가속한다는 계획이다.

▲‘농촌·도시 녹색 전환 패키지 도입’으로 바이오매스, 마이크로그리드, 그린 리모델링 등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박 군수는 특히 농생명 바이오매스 자원화, 청년창업 랩 캠퍼스, 기업 녹색 전환 패키지를 선도 모델로 제안하며, “부여에서 시작한 혁신이 금강 전역과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 전략은 2030년까지 지역 고용 1만 명 창출, 연간 온실가스 배출 300만 톤 감축, 세수 확대와 투자 유치라는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군수는 국민성장펀드가 지방 발전의 실질적 돌파구가 될 수 있도록 정부와 사회 전반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이처럼 충남 금강권의 ‘기후테크 허브’ 조성은 기후 위기 대응은 물론 지방경제 활성화와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정책 목표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메이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